본문 바로가기
Study

4-1-3 분노

by DreamWriter 2025. 3. 16.
728x90

분노의 특성

- 자기 조직이나 사회적 관계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정서

- 의도는 원래 잘못된 상황을 교정하거나 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

-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혹은 공격을 당할 때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한 생물학적 경향성에 기인

- 호흡의 변화, 혈관, 목소리, 근육, 얼굴 표정의 변화 같은 것 포함

 

1. 억제된 일차적인 적응적 분노

- 분노의 회피를 탐색하고 평가하는 것

적절한 분노를 표현하지 못하고 눈물을 쏟거나

무기력해하거나

우울증에 빠지는 것

주지화하고 최소화하는 것

감정을 마비시키는 것

사소한 농담을 하면서 감정에  거리를 두는 것

분노를 부적절하게 표현하거나 확산시키는 것

원한을 잊지 못하고 질질 끄는 것

외부 사건에 초점을 돌려 실제 분노 감정에는 초점을 맞추지 않음

 

- 정서를 변별

위반 & 방임과 관련된 일차적 분노 + 격분, 혐오감, 경멸감, 두려움 등이 혼재

충족되지 못한 의존적 욕구나 배신과 관련된 분노 + 상실, 슬픔

 

- 일차적 정서를 충분히 표현해야 하는 이유

기저에 깔린 의미와 접촉

그동안 충족되지 못했던 욕구를 인식

비난을 중지

책임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함

자기 권능을 강화

주장적 행위를 촉진

 

2. 일차적인 부적응적 분노

- 상해나 위반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

치료자와의 교정적인 대인관계 학습을 통해서 내담자 이면에 있는 건강한 내적 자원에 접근함으로써

일차적인 부적응적 정서의 재구성

 

 

3. 이차적 분노

- 다른 정서나 인지 과정에 대한 이차적 반응으로 분노가 생기거나 표현되는 경우

- 이차적 분노는 근원적인 감정이 의식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

분노는 두려움이나 상처에 의한 각성 수준을 가라앉히고 몸의 긴장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함

분노는 죄책감이나 무가치감, 우울감, 슬픔을 순식간에 지워버림

 

- 치료적 목표

이면의 인지적, 정동적 과정을 벗겨 내고 풀어내며, 분노를 유발한 기저의 일차적 감정에 접근하는 것.

 

 

4. 도구적 분노

- 이차적 이득을 위해, 즉 다른 사람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분노를 학습하고 사용하는 것.

 

 

 

분노에 대한 개입 원리

몸이 느끼는 감각에 주의를 기울이기

- 외부 지향적인 신체 경험

- 긴장, 열기, 압력, 열정, 힘, 표현에 대한 압력, 외부에 방출하고 공격자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발로 차거나 치고 밀어내고자 하는 압력

- 대상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혼자 굳건히 서고자 하는 욕망

 

상징화

- 저항이 심하거나 사회불안이 심한 내담자일수록 분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심함

- 분노를 상징화하고, 이를 정당한 것으로 긍정하고, 인증하는 반응적인 개입이 먼저 수반되어야 함

- 상담자가 내담자의 분노 반응을 언어로 대신 표현해 줌

 

각성의 강화

- 분노 표현을 통제한다면, 내담자가 의지하고 보편적인 회피 패턴보다는

지금 이 순간에 일어나고 있는 차단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 신체 동작을 하도록 하지만 분노 관리 전략과 균형 있게 사용해야 함

 

 

소유권과 주체됨의 증진

- 궁극적 분노 표현 후에 지향하는 방향 => 정당한 자기주장

- 치료의 초점은 내적 경험을 자각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정서의 소유권과 주체됨을 촉진하는 데 있음.

 

 

만성적 분노 사례

- 만성적 분노는 타인을 놀라게 하며 화를 낸 사람을 위험한 사람으로 인식하게 만듦

 

- 이면에는 무력감

=> 원래 분노의 목적은 타인을 자신의 요구에 응하게 하기 위한 것인데 

상대방을 점차 자신과 다른 반대의 입장에 서게 만들기 때문에 화내지 않으면 

다른 사람이 내 말을 듣지 않거나 관심을 보이지 않을 것 같은 고립과 외로움

 

- 위반과 피해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부적절하고 일반화된 방식으로 분노 표출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5 인지행동 치료의 기본원리  (0) 2025.03.30
4-1-4 수치심  (0) 2025.03.23
4-1-2 정서란 무엇인가  (0) 2025.03.09
4-1-1 용서치료란 무엇인가  (0) 2025.03.01
3-2-2 죽음 준비  (3) 2024.11.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