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4-1-4 수치심

by DreamWriter 2025. 3. 23.
728x90

일차적 부적응적 수치심

1. 수치심

- 존엄성과 가치가 없다는 것이 바깥에 드러나고 발각될 것 같은 감정

- 다른 사람의 눈에 못나 보이거나 열등해 보일 것 같은 느낌을 포함

- 두려움, 특히 타인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됨

- 수줍음이나 당혹감, 창피 (망신, 치욕)와 같은 감정들과도 유사

- 자의식적 => 내담자가 상담을 받는 것을 수치스러운 생각이 들지 않도록 해야 함

 

- 혐오감 -> 수치심

- 혐오감은 불쾌하고 무례하거나 하찮고 무가치한 것들에 주의를 기울이게 만듦

- 혐오감은 불쾌한 대상에 가까워질 수록 증가

- 혐오감이 증가하면 불쾌하고 가치 없는 물질(음식)을 내뱉고자 하는 욕구도 함께 증가

기능 : 어떤 기준을 위반한 사람과의 경계선 설정

 

 

- 경멸감 -> 수치심

- 경멸감은 불쾌하고 무례하거나 하찮고 무가치한 것들에 주의를 기울이게 만듦

- 경멸감은 불쾌하고 더러운 냄새(혹은 평판, 명성)에 반응할 때 일어나는 반응

- 경멸감에서 자신이 우월하다는 데서 오는 자만심과 상대에 대한 거부감이 수반됨

기능 : 어떤 기준을 위반한 사람과의 경계선 설정

 

 

2. 수치심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심 불안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게끔 경계하고 조심하도록 만듦

- 뒤로 물러서서 철수하거나 숨기려는 행위 경향성을 유발

- 눈이 힘없이 밑으로 깔리며, 얼굴을 비롯한 상체가 움츠러들거나 숙여짐

- 얼굴을 서로 쳐다보면서 주고받는 의사소통이 급격히 감소

- 얼굴이 붉어지고 심장이 격렬히 뜀

- 개인적인 결정이나 실패가 드러나지 않고 은폐됨

- 은폐반응 - 체면을 잃음

- 기능 : 기존의 사회적 지위와 관계를 보호

 

3. 일차적 부적응적 수치심

- 자기 스스로를 가치 없는 인간으로 여기거나 다른 사람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을 만큼

결점이 많다고 여기는 핵심적인 자기를 내재화함으로써 생김

- 특정한 느낌이나 욕구 및 행동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고 학습된 아동기의 양육 경험에 기인

=> 예) 남자아이는 나약해서는 안된다., 여자 아이는 자기주장을 해서는 안된다. 등

 

4. 내재화

- 내재화가 되고 나면 이후 자동적으로 수치심이 촉발

- 수치심이 던지는 메시지가 특정한 감정과 행동에 머무르지 않고

자기 전체 혹은 핵심적 자기에 대한 비난으로 일반화

- 내재화는 생애 초기의 수치스러웠던 경험들에 기반

- 과거에 중요한 사람이 자신을 대했던 방식 그대로 스스로를 대함

 

5. 상담 장면에서의 일차적인 부적응적 수치심

- 자기 모욕과 자기 경멸 때문에 일어나는 만성적인 낮은 자존감과 무가치감, 열등감, 그리고 만성적 우울감

- 사회불안증, 약물 남용, 강박증, 완벽주의, 과대감, 혹은 자기애적 성격장애에 나타나는 허세와 무모함

- 수치심을 가리기 위해 분노에 의지하기도 함

 

자신을 가치 없고 결점이 많은 사람이라고 지각 => 순간적으로 수치심에 취약해 짐

=> 자의식이 강렬하게 작동 =>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당혹감을 경험

 

6. 상담자의 개입

- 상담자는 내담자의 취약성을 긍정적으로 공감하고 내담자의 경험을 공감적으로 탐색하고

건강한 자원의 출현을 지지하면서 새로운 정서 도식을 재구성해야 함

- 원래 비난 받아 마땅한 대상에 비난을 돌림 => 비난의 외재화

 

7. 경험의 탐색

 

 

사회적 거절에 의한 수치심

 

1. 사회적 거절에 따른 수치심

- 인종, 성, 성적 경향성이 다르기 때문에 사회적 거절을 당하거나

열등한 존재로 취급받게 되면서 생긴 수치심

 

- 내재화된 핵심적 자기감 => 열등하고, 수용되지 못할 존재, 결점 투성이 존재

 

 

2. 상담적 개입

- 불골평한 대우를 받은 것에 대한 정당한 & 적응적인 분노를 표현

격분 => 주장적인 분노

- 자신도 사회적 거절 기저의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

 

- 힘에 접근할 수 있도록

- 거절당한 문화적 요인/특성이 강점인지 확인

- 과거를 새롭게 서술

 

3. 일차적 정서 도식에 접근하기

- 경험의 탐색 후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7 행동적 기법  (0) 2025.04.13
4-1-5 인지행동 치료의 기본원리  (0) 2025.03.30
4-1-3 분노  (0) 2025.03.16
4-1-2 정서란 무엇인가  (0) 2025.03.09
4-1-1 용서치료란 무엇인가  (0) 2025.03.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