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적 기법
1. 행동을 활성화하기
1. 행동의 활성화
- 내담자에게 긍정적인 활동은 격려하고 희망을 불어넣는 절차
필요한 이유
- 활동 수준 감소 => 증상 악화
- 긍정적인 행동 변화 => 자존감 향상
- 행동의 활성화를 사용하기 전에 먼저 협력적인 관계를 맺는다.
- 내담자로 하여금 결정을 내리도록 한다.
- 내담자가 변할 준비가 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 행동의 활성화를 위해 내담자를 준비시킨다.
- 내담자가 할 수 있는 과제를 계획한다.
2. 활동 점검하기
- 어떤 종류의 활동들이 내담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처럼 보이는가?
- 어떤 활동들이 내담자에게 성취감을 주는 것처럼 보이는가?
- 이러한 유형의 활동들은 다른 때에도 계획할 수 있는가?
- 내담자가 과거에 했던 활동 중에 지금은 전혀 하지 않거나 잘하지 않는 활동은 무엇이 있는가?
- 이러한 활동들에 대한 관심이 다시 생기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
3. 활동 계획 및 평가하기
- 성취감과 즐거움을 평가
4. 내담자가 즐거움을 낮게 평가하는 이유
- 내담자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매우 즐거운 일이라고 생각하는 활동에 거의 참여하지 않는다.
- 내담자는 기쁨이나 즐거움을 경험하는 능력이 둔감해져 있다.
2. 회피 패턴 바꾸기
1. 불안
- 불안한 내담자는 위협적인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
신체적인 각성 증상과 함께
주관적인 두려움을 강하게 느낌
* 상황의 위험 정도를 과장함
* 자신의 대처 능력을 과소평가함
* 특정 상황에 처함으로써 생기는 결과에 대해 파국적인 예측
* 회피 패턴
2. 불안 증상을 위한 행동적 개입
증상,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 대처 전략 평가하기 => 치료 목표 찾기
=> 기본적인 기술 훈련 => 노출
평가하기
- 노출 개입을 준비하기 위해서 불안을 일으키는 관련 장소, 상황, 사람을 찾아내기
불안 반응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사건 (기억, 생각)
두려운 자극에 대한 과잉 반응과 관련이 있는 자동적 사고, 인지적 오류, 근본적인 스키마
감정적, 생리적 반응
공황 증상이나 회피와 같은 습관적인 행동 (안전행동-사회적 자원이 돕고 있을 수도 있다.)
치료 목표 찾기
- 가장 쉽게 달성할 수 있는 하나의 증상이나 목표를 정해 성공
=> 자신감
- 가장 어려운 문제를 다루어야 하는 경우 : 상황 상 가장 빨리 해결되어야 하는 경우만
- 특정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한 경험 => 다른 상황으로 일반화
기본적인 기술 훈련
- 이완훈련
- 생각 중단하기
- 주의 돌리기
- 재앙화에서 벗어나기
- 호흡 재훈련
- 이완훈련
목적 : 내담자 이완 반응(정신적, 신체적으로 동요가 없는 상태)를 학습하도록 돕는 것
스트레스 반응은 신경계가 높은 수준의 흥분이 일어나도록 조정되어 좀 더 쉽게 반응하게 된다.
근육 긴장 감소 => 불안 감정도 감소
마음 챙김, 점진적 근육 이완, 호흡, 시각화
- 생각 중단하기
목표 : 부정적인 사고 과정을 중단하고 좀 더 긍정적이고 적응적인 사고로 대체하는 것
1 역기능적 사고 과정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은 인식한다
2 생각을 중단하기 위해 자기-지시를 내린다.(예 : 멈춰! 그런 식으로 생각하는 것 그만둬!
노출
- 불안 장애의 자극 반응 연결 고리를 끊는 마지막 단계
단계적 노출을 위한 단계 분류표 만들기
1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2 각 단계에 대해 어려움의 정도 혹은 예상되는 불안의 정도를 평가한다.
3 어려움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로 구성된 단계 분류표를 만든다.
4 각 단계는 협력하여 선정한다.
가상 노출
실제 노출
3. 과제 수행하기
1. 단계적으로 과제 부여하기
- 성취하기 어려운 과제를 좀 더 쉽게 성취할 수 있는 작은 과제들로 나누기 => 성취감 느끼기
내담자의 자질구레한 일들이 밀려 있을 때
내담자가 마감일이 임박한 일들을 미루고 있을 때
내담자가 이루기 원하는 목표가 복잡한 것이어서 오랜 시간에 걸친 노력이 필요할 경우
2. 활동 예행연습
- 치료 회기 밖에서 수행할 활동 계획을 치료 회기에서 연습
*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내담자의 능력을 점검하고
* 행동 기술을 연습하며
* 내담자에게 피드백을 주고
* 일어날 수 있는 방해물들을 찾아내며
* 활동 계획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내담자를 코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예)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에서 자기 주장하기
3. 문제해결 단계
문제를 선별한다 => 목표를 선정한다 =>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한다
=> 해결책들을 찾아본다 =>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을 선택한다
=> 계획을 실행한다 => 결과를 평가한다
4. 효과적인 문제해결의 장애물들
- 인지적 장애 : 집중력 저하, 느린 사고, 의사결정 능력 저하
- 인지적 왜곡 :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인지적 오류, 자기 비난
- 감정적 부담 : 압도된 느낌, 불쾌, 불안
- 회피 : 미루는 버릇, 건망증
- 사회적 요인 : 타인들의 모순된 조언, 비난, 지지 부족
- 실제적인 문제 : 불충분한 시간, 제한된 자원, 통제할 수 없는 문제
5. 상담자의 태도
- 상담자가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낙관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을 때 내담자를 도울 수 있다.
- 상담자 (혹은 내담자)가 자신을 사려 깊고 지지적인 충고자라고 가정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제안할 것인지 질문해 볼 수 있다.
- 문제 해결 능력은 보통 아동기 때 학습된다.
=> 박탈경험 => 재양육 제공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9 용서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기 (0) | 2025.04.27 |
---|---|
4-1-5 인지행동 치료의 기본원리 (0) | 2025.03.30 |
4-1-4 수치심 (0) | 2025.03.23 |
4-1-3 분노 (0) | 2025.03.16 |
4-1-2 정서란 무엇인가 (0) | 2025.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