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정서발달

by DreamWriter 2022. 4. 26.
728x90

 

01 정서발달

 

1. 정서 표현의 보편적 패턴

기본 정서 => 복합 정서

 

선천적 정서

생후1년이내

흥미, 고통, 혐오, 만족감 vs 분노, 슬픔, 기쁨, 놀람, 공포

모든 정상 영아에게서 같은 시기에 나타남

모든 문화권에서 비슷하게 해석

 

이차적이고 복합적인 정서

생후 1년 이후

당혹감, 부러움, 죄책감, 자부심, 수치심 등

자의식적, 자기 평가적 정서

인지발달이 수반되어야 나타나는 정서

 

2. 정서 표현의 사회성

 

정서표출 규칙 : 정서표현의 사회적 규칙

- 인지발달을 통해 정서표현의 적절성 습득하며 정서조절하게 됨

 

생후 1년 이후 : 정서 통제 책략 발달시킴

2~6세 : 서서히 정서 표현 및 정서조절 정교화

초등학교 후반 무렵 : 능숙한 정서조절 가능

 

타인의 정서 표현을 인지, 해석하는 능력은 서서히, 꾸준히 발달함

3개월 : 어머니의 행복한, 슬픈, 화난 말소리 + 표정 구별 가능

8~10개월 : 사회적 참조

생후 1~2년 : 자신의 판단을 평가하기 위해 타인의 정서적 반응 살펴봄

18~24개월 : 자신의 정서에 대한 언어적 표현 시작

4~5세 : 외적 요인으로 해석 => 공감능력의 기초 : 친구가 왜 화났는지, 행복한지, 슬픈지 설명 가능

학령기 : 점차로 내적/외적 정보를 모두 사용하여 정서를 해석함

7~9세 : 한 사람이 한 가지 이상의 정서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됨

 

3. 정서와 초기 사회적 발달

 

정서 표현 => 의사소통 기능 수행

정서적 유능성 => 사회적 유능성의 기초 형성

 

02 기질

1. 기질의 정의

기질 

- 개인이 외부의 환경적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개인의 특징적 반응 양식

- 안정된 정서적 반응 양식의 질적, 양적 특성의 개인차

- 성격의 개인차의 근원으로 간주함

 

 

2. 기질의 분류

 

1 토마스 & 체스

- 기질 분류를 위한 기질적 특성의 차원을 밝혀냄

활동성, 규칙성, (자극에 대한) 접근과 회피

주의 폭, 지속성, 기분

적응력, 예민성, 반응 강도

 

- 기질 유형 분류

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더딘 기질 (느린 기질)

 

2 로스바트 & 베이트

- 기질의 6개 차원

두려움과 억제

규칙성

과민성

긍정적 정서성 및 접근

주의 폭과 지속성 

활동 수준

 

3. 기질의 특성

1 기질은 선천적 특성

2 영아의 기질은 성인기 성격 및 문제 행동과 관련

3 개인의 기질적 특성은 타인이나 외부 환경에 반응하는 방법에 영향을 줌

4 개인의 기질적 특성은 타인들이 그 개인에게 반응하는 방법에 영향을 줌

5 조화의 적합성 중요함

6 기질의 안정성

7 기질의 문화적 상대성

 

03 애착

1. 애착의 정의

- 애착 : 생애 초기에 아이와 주양육자 간에 형성하는 긴밀한 정서적 유대관계

존 보울비

 

2. 영아기 애착 발달

- 애착 발달 4단계 (볼비)

애착 이전 단계 : 출생~3개월

애착 형성 단계 : 3~6개월

애착 단계 : 6~18개월 (낯가림, 격리 불안)

상호적 교류 : 18개월~

 

쉐퍼 & 에머슨

신생아~18개월 미만의 영아 대상

 

1~6주 : 비사회적 단계

6주~6개월 : 무분별한 애착 단계

약 7~9개월 : 특정 대상 애착 단계

9개월 이후 : 다수 애착 단계

 

- 애착형성 과정에 나타나는 특징

낯가림

격리 불안

 

3. 애착 이론

1 정신분석 이론 : 수유의 중요성 (본능적 욕구 충족)

프로이트(구강 만족) vs 에릭슨 (수유와 반응성에 의한 인간에 대한 기본적 신뢰와 불신 형성)

 

2 학습 이론 : 보상의 중요성 (강화 기제)

엄마의 수유 : 배고픔 해결 + 안락함, 신체접촉, 부드러움 제공 등

인간의 기본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보상적 존재

-> 일차적 강화 + 이차적 강화로 인한 애착 형성

(원숭이 애착 실험)

 

3 인지발달 이론 : 인지적 존재의 인식

- 애착형성을 위해서는 인지발달이 선행되어야 함을 주장 (대상 영속성)

대상 영속성의 획득 => 애착형성에 매우 중요

 

4 동물행동학 이론 : 애착의 선천성 (진화심리학)

생존 적응적 기제

애착 => 인간 생존에 필요한 종 특유의 생득적 행동

- 애착형성의 결정적 시기 (민감기) 주장

큐피 인형 효과 => 애착의 동물행동학적 입장 지지 (선천성)

 

4. 애착 유형

 

메리 에인스 월스(1978) + 메리 메인(1980)의 애착 유형 분류

- 낯선 상황 실험 (8장면)

 

애착 유형 (4 유형)

안전 애착 , 불안전 애착 (저항/양가적 애착, 회피 애착, 혼란 애착)

안정애착, 불안정 애착으로 표기하기도 함

 

5. 애착의 지속성 (애착과 후기 발달)

영아기에 형성하는 초기 애착(지속) => 아동기의 자율성 형성

                                                   성인기의 사랑과 결혼 인간관계 형성 기초

 

성인기 애착

- 영/유아기 애착 유형의 장기적 효과

-> 내적 작동 모델 (나와 타인에 대한 신뢰, 자아상, 인간관 등 형성)

-> 자아상과 타인에 대한 모델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

 

자아상과 타인에 대한 모델에 따른 유형

(자아상+타인에 대한 인상)의 긍정적, 부정적 분류로 인해 4가지 형태 도출

 

6. 애착 영향요인

 

1 기질

기질 가설 : 애착형성을 위한 아이 요인 강조

 

2 부모 특성

양육 가설 : 양육자 및 양육의 질 강조

              양육자 - 영아 간 안전 애착 형성하는 양육의 6가지 특징

               (민감성, 동시성, 지원, 긍정적 태도, 상호성, 자극)

 

3 환경

가정환경,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환경적 영향

모성 실조 가설 : 주양육자와의 애착관계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사회적 자극 가설 : 아이의 신호에 반응이 되지 않는 경우 (사회적 접촉 결핍)

 

4 문화

 

7. 애착형성과 사회성 발달 및 적응에 대한 시사점

초기의 안전 애착이 전 생애의 긍정적 적응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불안전 애착이 건강하지 못한 인생이 되는 지표가 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생애 초기의 안전 애착 형성은 인간 발달의 적응적(긍정적) 중요성을 지닌다.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차적 불안  (0) 2022.04.26
정신분석적 상담  (0) 2022.04.26
언어와 사고  (0) 2022.04.26
인지행동 치료  (0) 2022.04.25
행동치료  (0) 2022.04.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