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이차적 불안

by DreamWriter 2022. 4. 26.
728x90

1. 이차적 불안

내적 경험을 회피

안전한 치료적 환경 -> 내적 경험

- 자신이 약하다는 것을 두려워하여 의존적 욕구를 수용하지 못하는 것

- 분노나 슬픔 혹은 유약함과 같은 내적 경험을 두려워하고 있음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금기나 상상된 위협을 탐색 및 의문을 제기

- 여성은 화를 내면 안 된다.

- 남성은 울면 안된다.

 

부정적 미래 예측

부정적 사고 수정

- 재앙적 기대, 수행 불안, 실패를 예견하고 두려워하는 것

 

사회적 금지 때문에 일어나는 불안

- 자기비판적인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면서, 다른 사람이 자신을 거부하거나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함

- 부적적인 자기 평가가 내재화되어 다른 사람의 거부나 비판에 지나치게 민감해졌음

 

 

2. 약하고 무기력함에 대한 두려움

 

의존에 대한 두려움은 절박한 상황에 처했을 때, 누군가의 도움과 보살핌을 받았던 경험이 아니라

상처받거나 배신당하고 실망했던 아동기 경험의 불안이 조건화됨으써 혹은

사회적 금기가 내재화됨으로써 생겨남

 

상담 목표

변화의 기전은 두려움과 회피를 극복하고 그 이면의 숨겨진 일차적 취약함과 불안감을

피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인간 심성의 일부로, 건강하게 받아들임

 

3. 재앙적 기대

- 재앙적 기대에 따른 불안은 내담자의 감정이나 기분을 재앙화할 때 일어남

- 재앙적 기대는 자신이 바라거나 소망하는 것을 추구하지 못하게 만듦

- 나쁜 결과나 손해를 상상하면서 이차적인 불안이 발생

 

상담 목표 

내담자는 자신을 불러일으키는 주체로 인식

 

두 의자 재현

빈 의자에 자신의 일부를 상상하여 앉게 하기

불안감에서 한 걸음 떨어져 관찰자적인 자세를 취하게 됨

그리고 자신의 생각이 어떻게 불안을 일으키는지 볼 수 있게 됨

그다음에는 숙달 감에 대한 욕구가 일어나고, 두려움을 유발하는 인지에 대항해

스스로를 진정시키고자 하는 내적 자원

 

4. 수행 불안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 수행 불안은 자기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타인에게 귀인시킴으로써 일어나는 것

 

상담 목표

다른 사람의 부정적이거나 엄격한 관점을 상상하도록 한 뒤,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하고 이러한 것들이 내재화된 자기 관점에서 유래하고 있음을 이해하도록 도와야 함

 

5. 재앙화 사례

 

결정요인에 초점을 맞추기

 

두 의자 기법을 이용하여 두려움을 유발하는 과정 탐색하기

 

일차적 욕구에 접근하여 재구성하기

 

내적 자원에 접근하기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택 이론과 현실 치료  (0) 2022.05.02
자기이해 및 타인이해 발달  (0) 2022.05.02
정신분석적 상담  (0) 2022.04.26
정서발달  (0) 2022.04.26
언어와 사고  (0) 2022.04.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