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3-2-2 애도

by DreamWriter 2024. 11. 24.
728x90

애도

 

1. 사별

사별 : 의미 있는 사람을 죽음으로 잃는 경험

- 누구나 겪어야 할 보편적인 사건

- 상실에 슬픔과 고통스러움 => 다양한 적응 상의 문제 야기

- 죽음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

 

죽음과 관련된 인지적 왜곡

1. 사망을 가족에 대한 직무 유기 또는 거부 => 원망감, 분노 경험

2. 사망에 대한 원인을 환경이나 타인에게 돌리는 비합리적인 추론 => 희생양을 찾음

3. 사망을 자신의 탓으로 => 자기 비난, 과거 행동에 대한 죄책감

 

죽음에 대한 정서, 신체 반응

1. 슬픔(비탄), 우울감 (만성 우울증), 두려움과 불안

2. 불면증, 두근거림, 소화불량, 모호한 신체 통증

3. 지병 악화, 면역 체계의 손상

 

 

2. 일상으로의 복귀

죽음은 일상생활에 위기를 부른다.

- 죽음을 경험

- 신체적 질병이나 손상 => 대항 및 조정 능력의 위기

 

병사

1. 병의 진단 : 상황적 위기 (우발적 위기)

2. 새로운 상황적 위기

3. 경제적 위기

4. 예보적 비탄 (vs. 사별 후 비탄)

 

 

사고사

1. 갑작스러운 죽음

2. 죽음 이전 상황

3. 죽음 이전 갈등

 

죽음이라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가족체계의 변화

 

주변 사람들과의 새로운 관계 형성 (친소 관계 증폭)

- 가족 : 잠재적 갈등의 폭발 or 소원한 관계가 친밀해지기도

교제의 폭 확대 or 축소

죽음은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옴 => 대인관계의 변화

 

가족 내 지위와 역할의 변화

- 망자의 역할 승계

- 경제적 변화

- 새로운 삶의 단계로의 이행을 촉진 or 지연

 

 

3. 애도

애도 : 사별 경험에 따른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

-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에 대한 충격, 강한 슬픔, 분노 등을 경험하는 정상적인 반응

- 사별을 수용하고 회복과 적응에 이르는 과정

 

애도의 필요성

- 애착이론 : 인간이 특정한 사람에게 강한 애착을 느끼는 경향성과 더불어 애착 대상과의 분리 혹은 애착 대상의 상실이 발생했을 때 수반되는 불안, 분토, 우울 등과 같은 다양한 정서적 고통을 설명하는 이론

 

- 사별 : 애착 대상과의 분리 불안의 확장

 

애도 과정

1단계 : 충격의 단계

- 자기 체험의 부서짐 (--애도 => 새로운 자기 체험)

- 자기 소외

- 주변인은 다가섬과 물러섬 사이의 균형 유지

 

 

2단계 : 상실한 대상에 대한 그리움의 단계

- 망자가 다시 소생할 것 같은 느낌

- 망자와의 추억을 회상

- 망자를 이상화

- 망자가 살아있을 때와 같은 삶을 유지하려고 함

- 주변인은 애도자아 체험을 나누기만 (다른 의견제시 하지 말 것)

 

 

3단계 : 혼란과 절망의 단계

- 망자 없는 삶을 수용

- 새로운 행동방식을 시도

- 침체와 폭발이 번갈아

 

 

 

4단계 : 새로운 일상의 성립 또는 실패

- 고인과의 연계 속에 새로운 삶 발견

- 자기 개별화 (탐색과 분리)

- 새로운 자기가 세계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

- 상실과 타협

 

 

애도의 과제

1. 상실의 현실 수용하기

2. 애도의 고통 작업하기

3. 고인의 부재 환경에 적응하기

4. 고인과의 연계 속에 새로운 삶 발견하기

 

우리가 헤어짐을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어짐에도 파괴되지 않고

애도를 통해 자신을 새롭게 경험할 수 있다.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1 용서치료란 무엇인가  (0) 2025.03.01
3-2-2 죽음 준비  (3) 2024.11.28
3-2-2 심리 측정 및 평가 기말고사 (정리중)  (0) 2024.11.24
3학년 2학기 부자학 기말고사  (0) 2024.11.24
3-2-12 여가의 이해  (1) 2024.11.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