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의 이해
1. 현대사회 여가의 특징
여가란 무엇일까요?
관점 | 단위 | 정의 | 학문적 근거 | 장점 | 단점 |
객관적 관점 (이분법적) |
시간 | 남는 시간 | 사회학 경제학 |
비모수 통계 제도적 관리 노동과 대비 |
행위자 무시, 상황 무시 |
자유시간 | |||||
활동 | 자유활동 | ||||
주관적 관점 (다원적/ 상대적) |
마음상태 심리적 조건 |
경험의 의미 |
심리학 철학 |
행위자 중심, 노동과 양립가능 |
관리 어려움 |
현대사회의 여가
1 소비 패턴의 변화
2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의 구조화
3 대중여가문화에서 개인 여가문화로의 변화
4 기술 발달과 다양한 여가 문화
5 여가의 상업화
여가문제와 사회문제
- 여가 소외
- 여가의 국제화
- 소극적 여가 문제
- 향락적 여가 문제
- 사행성 여가 문제
- 과시성 여가 소비 문제
2. 여가 동기 모형
1. 여가 욕구 분류 모형
- 1930년대 심리학자 Murray의 기본 욕구 이론
- Beard와 Ragheb (1983)
지적 욕구 : 인지적 자극을 접하여 지식의 확대를 추구하는 욕구
사회적 욕구 : 대인관계라는 맥락에 관련된 욕구
유능적 욕구 : 여가 활동 경험을 통해 개인의 여러 능력을 확장하려는 기본적 성향을 의미
자극회피 욕구 : 지식이든 물리적 자극이든 혹은 대인관계이든 그것을 회피하려는 욕구
2. 이중 추동 여가 욕구 모형
자기 결정 | ||
욕구 : 모든 여가 활동은 전제에서부터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한다는 조건이 필요
자기표현 욕구 : 자발적 활동은 자기의 내면이나 외면을 가장 드러낼 수 있는 계기가 됨
자기 향상 욕구 : 여가 활동이 자기 결정의 결과라면 그러한 활동은 대개 자기 정체성이나 개념을 확인하거나 향상하는 방향으로 이루어 짐
3. 여가 경험의 과정과 결과
여가 동기와 체험의 순환 과정
기본 여가 욕구 => 동기화 => [여가체험] 인지적 체험과 정서 체험 => 최적각성 추구 추동 & 이완 추구 추동
=> 회상 => 기본 여가 욕구
여가 경험의 결과
여가체험 :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단기적 여가 결과 :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 능력 향상
장기적 여가 결과 : 삶의 질
여가 활동의 정서적 효과
인생의 부적적 사건들 => 일상 스트레스 증가 => 완충
사회적 지지, 자기결정감 => 신체적/ 정신적 건강 유지
- 자기 결정 경험을 통한 스트레스 완충
- 대처 전략으로서의 여가
여가 활동의 인지적 효과
- 여가활동 동안 지각하는 인지적 능력을 포함한 유능감의 체험
=> 일상생활의 인지적 능력 함양으로 전이
- 여가 체험의 다양한 측면
=> 개인의 이해력, 창의력, 문제해결 능력, 유능감 및 통제감, 지각 능력과 자기 정체성의 확인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침
- 여가 활동의 경험 => 사회적 과정
=>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해, 대인관계 기술의 습득 및 발휘 기회를 얻는 것
-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확인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2 심리 측정 및 평가 기말고사 (정리중) (0) | 2024.11.24 |
---|---|
3학년 2학기 부자학 기말고사 (0) | 2024.11.24 |
부모-자녀 관계 (4) | 2024.11.10 |
3-2-10 이혼과 재혼 (3) | 2024.11.03 |
3-2-9 성인학습 - 부부관계 개선하기 (0) | 2024.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