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생리심리학

by DreamWriter 2022. 8. 30.
728x90

생리심리학이란?

 

생리학

생물의 기능이 나타나는 과정이나 원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

 

심리학 

인간의 마음(정신)과 행동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

 

생리심리학의 정의

- 유기체 (인간)의 심리현상을 생리학적으로 해석,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

- 인간의 마음과 행동 과정을 신경계와 내분비계 등 생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이해

 

생리심리학 관련 분야

신경과학 : 신경계의 측면에 대한 연구

생물 심리학 : 모든 생물학적 범위를 포괄

신경심리학 : 뇌 기능과 인간의 심리현상의 관계

행동신경과학 : 행동 (내외적) 과정

인지신경과학 : 인지 기능에 대한 신경과학

정신약물학 : 행동에 대한 약물의 효과

 

생리심리학, 왜 배워야 하는가?

생물학적 관점은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는 주요 관점 중 하나

심리학의 시작은 인간의 정신을 과학적으로 보려는 시도에서 출발

생물학적 지식을 통해 인간에 대한 심층적이고 과학적인 이해가 가능

인감 심리에 대한 생물학적 원인을 알면,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

 

 

생리심리학의 역사

 

철학적 기원 : 마음(정신)과 신체의 관계에 대한 탐구

마음이란 무엇인가?

마음과 신체는 어떤 관계인가?

 

플라톤

- 심신 이원론 : 정신은 신체와 분리 가능

- 르네 데카르트의 이론으로 연결

- 세상에는 물질과 정신이라는 근본적으로 다른 두 실체가 있음

- 송과선을 통해 상호작용 "송과선은 영혼의 자리"

 

아리스토텔레스

- 심신 일원론 : 정신과 신체는 동일한 실체

- 마음은 심장에 있다.

 

마음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시작

 

구스타프 페히너

- 독일 물리학자

- 정신장애와 시력상실로 고통받다가 회복되면서 새롭게 세상을 지각

- 물리적 자극이 어떻게 심리적 감각 및 지각으로 연결되는지 과학적으로 연구

- 정신 물리학 창시

 

헤르만 헬름홀츠

- 독일 생리학자

- 자극 정보가 신경을 따라 이동한다는 사실을 토대로 신경전도 속도 연구

 

빌헬름 분트

- 독일의 생리학자

- 1879년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에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 설립

-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

- [생리학적 심리학 개요] (1874년)

 

뇌 손상 사례를 통한 인간 마음의 연구

 

폴 브로카

- 프랑스의 외과 의사

- 뇌 손상과 언어장애

 

칼 베르니케

- 독일의 외과의사

- 뇌 손상과 언어이해 장애

- 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와 정신적 문제를 혼동하는 것의 위험성을 지적

 

로저 스페리

마이클 가자니가

- 미국의 신경심리학자

- 분리 뇌 환자 연구

분리 뇌 환자

> 뇌전증 치료를 위해 뇌량을 절단 > 외계인 손 증후군 현상

좌우 뇌의 기능적 편재화

 

뇌영상 기술의 발달

 

뇌파기록법/뇌전도(EEG)

- 두피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

 

양전자방출 단층촬영기법(PET)

- 체내에 주입한 화학물질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을 기록하여 뇌의 활동 정보를 파악

 

컴퓨터 단층촬영(CT)

X선으로 얻은 정보를 컴퓨터로 재구성

 

자기 공명 영상(MRI)

자기장을 활용한 뇌 사진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

- 자기장으로 활동하는 동안의 뇌 혈류량 변화를 살펴보는 기법

- 최근 3D 전자 현미경 등 다양한 기술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주차 - 스승과 제자  (0) 2022.09.05
2주차 현대인의 건강관리 (어린이 질병)  (0) 2022.09.05
심리상담이란 무엇인가  (0) 2022.08.30
감정의 이해  (0) 2022.08.30
1주차 - 대인관계 심리학의 의미  (0) 2022.08.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