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1 체계론적 치료
- 개인의 심리적 증상 치료이나 부부 또는 가족갈등의 해결은 개인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인지행동 수정만으로는 불충분한 경우가 많음
- 체계론적 치료에서는 문제나 갈등 해결을 해결하는 데 있어 개인의 특성 외에도 맥락을 중시
- 층상이나 문제를 체계 맥락에서의 상호작용으로 이해 하면 수월
- 체계론적 치료에서는 증상이나 문제와 관련된 맥락의 구조와 역동을 파악하기 위해
가계도와 가족세우기를 활용
- 이 두 치료적 개입은 개인의 증상이나 관계 갈등을 보다 생생하게 경험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음
가계도 분석
1. 가계도 그리기 방법과 절차
- 가계도는 가족의 구조를 나타내는 지도와 같은 것으로써 3대 이상의 가족에 대한 수많은 정보들을 쉽게 보여줌
- 가족 구성원의 개인적인 특성은 물론 구성원들의 관계를 기호를 통해 표시 가능
- 1단계 : 개괄적인 정보 기입
- 2단계 : 구성원들의 관계 표시
- 3단계 : 가족체계 사정 (수평적, 수직적 유형 파악)
2. 가계도 인터뷰
- 가계도 그리기는 가족에 관한 방대한 정보를 짧은 시간에 서술할 수 있는 장점
- 하지만 이 작업은 준비가 안 된 내담자나 가족에게는 심리적으로 큰 부담을 줄 수 있음
- 가계도는 3대 이상의 가족 전체의 이야기
- 가족의 일부 이야기만 오픈하기가 힘듦
-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보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주관적인 정보를 통해 그려짐
- 기억 과정에서 가족 방어기제로 인해 억압, 미화되는 경우도 있음
가족 세우기
1. 가족 세우기의 장점
- 가족의 정서적 분위기 탐색
가족 세우기는 가족 구성원 간 관계를 재현함으로써 가족의 정서적 분위기를 탐색하기 위한 작업
가족 구성원들의 위치와 자세
- 심리치료 현장 및 학문적 연구에 활용
- 여러 세대에 걸친 관계와 관계의 순환성 파악
기본 요소 : 물리적 거리, 높낮이, 표정이나 몸짓
(대리인을 세워서 표현할 수도 있음)
2. 가족 세우기 방법
가족관계를 참여 배치를 통해 표현
인지적이 아닌, 정서적 이야기를 해야 함
가족 세우기를 통해 가족의 다양한 구조 연출 가능
다양한 가족 구성원의 시각에 따라 배치
좋은 구조가 될 수 있는 실천사항 (구체적이고, 작은 것부터)
내담자의 아이디어를 통한 실천과제 세우기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주차 현대인의 인문학 : 세한도 (0) | 2022.08.29 |
---|---|
계절학기 시작 (0) | 2022.06.21 |
용서치료 (0) | 2022.05.30 |
이상심리 및 심리치료 (0) | 2022.05.30 |
성인 노인기 발달 (0) | 2022.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