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혁신의 이해
사회혁신이란 무엇일까?
사회혁신은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1. 사회혁신의 이해
사회혁신은 우리 주변 어디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 코로나 마스크 지도 => 시민들이 함께 만든 사례
> 동구밭 : 비누판매 회사 => 발달장애인 꿈의 직장
발달장애인들이 겪는 어려움 : 사회성 결여 =>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 회사
> 노면 색깔 유도선 => 명확한 구분을 통해 사고 감소
사례의 공통점은?
1 문제발견 : 사회구성원들의 필요 혹은 이들이 처한 문제를 발견한 것
2 문제해결 :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3 누가 문제를 해결했나? : 시민들이 협력하여 해결
2. 사회혁신의 정의
사회문제를 발견하고
시민들이 사회 구성원들과 협력하여
그 문제를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
사회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
즉, 기존의 해결책보다
더 효과적이고 더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해결책이며,
해결책에서 창출된 가치는
주로 사적인 개인보다는 사회 전체에 축적하는 것
- 스탠포드 경영대학원 사회혁신 센터
사회혁신의 등장 배경
기존에는 정부와 시장에 맡겼던 사회의 다양한 이슈들 : 국가경제성장, 보건, 교육 등
정부의 한계 : 전문성과 유연성 부족, 관료주의로 인한 비효율성, 정치적 제약 및 이익집단에 의한 포획 등
시장의 한계
기업 :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생산경제의 단위체
만약 사람들에게 필요하지만 기업에 주는 경제적 이익이 없다면?
생산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면?
사회적 난제 증가 : 복잡- 다양해지는 사회문제들
전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점점 더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사회문제 발생
환경오염, 기후변화, 자연재해
미세먼지, 쓰레기 문제, 이상기후현상, 농작물 재배의 어려움, 식량위기, 빈곤-기아 문제
전염병으로 인한 여러 분제들과 변화 발생 : 마스크 대란, 경제적 어려움, 교육격차, IT기술의 이용 가속화
4차 산업혁명과 예측 어려운 변화들
변화 될 우리의 일상은?
20년 안에 로봇에 대체될 직업
텔레마케터, 시계 수리공 99%
스포츠 심팜 98%
회계사 94%
택시기사 89%
프로그래머 48%
경제학자 43%
판사 40%
금융전문가 23%
기자 11%
정치학자 3.9%
패션디자이너 2.1%
CEO 1.5%
초등교사 0.4%
사회복지사 0.3%
레크리에이션 치료사 0.2%
사회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주도접근, 시장주도접근의 실패에 대한 대응
=> 정부나 시장을 통해 해결되지 않는 문제 또는 그로 인해 더 심화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상황을 겪고 있는 당사자인 시민 사회가 참여해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
세계적인 사회혁신의 흐름
- 사회혁신에 대한 본격적 논의
1990년대 후반 : 영국의 사회운동가 및 연구자들로부터 시작
=> 이후 10년 간 :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확산
마이클 영 (1915-2002)
- 사회혁신 분야의 개척자
- 세계에서 가장 창의적이고 영향력 있는 사회혁신가로 인정
- 다양한 사회혁신 활동 : NHS 다이렉트, 오픈 유니버시티 등
- 영국 : 1998년 영국 복권기금을 이용해 사회혁신에 대한 연구와 투자재단 설립 NESTA
- 2012년 세계 최초의 사회투자은행 빅소사이어티 캐피털 출범 : 민간 사회적 경제와 사회혁신이 성장할 수 있도록 자금제공
- 미국 : 2001 스탠퍼드 사회혁신 센터 설립 : 사회문제 해결에 기업, 정부, 비영리기업의 협력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
아쇼카 재단
- 빌 드레이튼이 설립함 (1980년)
- 사회혁신가를 발굴하고 연결하여 사회문제 해결이 목적임
- 사회혁신가를 (아쇼카 펠로우)라고 부름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2 아동 상담의 과정 (0) | 2023.09.04 |
---|---|
2-2-1 학사제도 및 학업계획 (0) | 2023.08.29 |
2-2-1 진로상담의 이해 (0) | 2023.08.29 |
2-2-1 아동상담의 기초 (1) | 2023.08.28 |
2-2-1 청소년문제의 정의 (2) | 2023.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