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경전달물질
- 시냅스의 정보전달을 담당하는 신경계의 화학물질
대부분 뉴런에서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
- 약 100여 가지로 추정 (다 알기 어렵다.)
2. 주요신경전달물질
1) 아세틸콜린
- 아세틸조효소 + 콜린 -> 아세틸콜린
- 아세틸콜린성뉴런
기능 : 근육 수축 , 기억 형성
관련 증상 및 장애 : 보톨리누스균독(보톡스)활용
기능 : 노화와 기억력 저하
관련 증상 및 장애 : 알츠하이머병 - 약물 :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
2) 모노아민계열
-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 기분과 각성, 감정과 관련
도파민
- 티로신 -> L-도파 -> 도파민
흑질선조체 : 흑질->배측선조체
기능 : 운동조절
관련 증상 및 장애 : 파킨슨병 - 약물 : L-도파
중뇌변연계
복측피개-> 측좌핵
기능 : 보상감, 쾌감
중뇌피질계
복측피개->전전두피질
기능 : 주의집중, 반응 억제
관련 증상 및 장애 : 학습, 중독, 조현병의 환각, 망상 등 - 약물 : 도파민 수용체 차단제
ADHD(주의력결필과잉행동장애) - 약물 : 도파민 재흡수 차단제 (메틸페니데이트-콘서타, 리탈린...)
노르에피네프린
- 티로신 -> L-도파 -> 도파민 -> 노르에피네프린 -> 에피네프린
기능 : 교감신경계 활성화, 각성, 활력, 분노
관련 증상 및 장애 : 기분저하, 우울장애, 양극성장애
세로토닌
- 트립토판 -> 5-히드록시트립토판 -> 세로토닌
기능과 관련 증상 : 기분조절, 수면, 각성
관련 증상 및 장애 : 우울장애, 불안장애 - 약물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 증가)
멜라토닌으로 변화, 수면장애
세로토닌 증가 활동 : 운동, 일광욕 등 , 트립토판이 풍부한 음식 섭취
3) 아미노산
- 단순 아미노산인데 신경전달 물질로 작용하는 대표물질 : 글룰타메이트(글루탐산), 가바
글루타메이트(글루탐산)
- 중추 신경계에 가장 많은 주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
- 다양한 수용기에 결합하여 작용 (예 : NMDA수용기)
- 글루타메이트 과잉 -> 뉴런이 과도하게 흥분하여 죽음
가바 GABA
- 중추신경계의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 억제성 신호 없이 흥분하기만 한다면?
- 뇌전증 발작, 불안장애, 수면장애 등 - 약물 : 벤조디아제핀 (항불안제, 신경안정제...)
- 알코올은 GABA 수용기에 부착
4) 신경펩티드
- 타 신경전달물질과 달리 넓은 범위에 길게 영향. 호르몬과 유사
- 내인성 아편물질
- 엔도르핀 - 통증 신호 억제, 행복감 촉진
ex 러너스하이, 운동중독, 매운 음식, 자해...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 해결의 원리와 경청법 (0) | 2022.09.14 |
---|---|
신경계의 구조 (0) | 2022.09.14 |
감정 탐색 - 감정코칭모델 2단계 (0) | 2022.09.13 |
암의 이해 (0) | 2022.09.12 |
현대인의 인문학3 (0) | 2022.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