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심리학 개론 - 감각과 지각

by DreamWriter 2022. 3. 14.
728x90

신경계

 

1. 신경계 구조 - 뉴런, 신경충동, 시냅스 전달 (신경전달물질)

 

주요 신경전달물질

- 아세틸콜린

- 모노아민

- 아미노산

- 펩타이드

 

2. 신경계 기능

 

감각 정보의 수용

뇌 정보처리 과정에 관여

정보에 대한 반응

 

신경계 

중추신경계 - 뇌, 척수

말초신경계

 

3. 뇌 구조와 기능

전뇌 = 종뇌 + 간뇌

중뇌 = 중뇌시개 +중뇌피개

후뇌 = 후뇌 + 수뇌

 

4. 뇌 기능과 인간행동

대뇌국소화

뇌가소성

내분비계 (신체와 신경계 간 정보전달 시스템)

 

5. 뇌 연구기법 

EEG , CT, MRI, PET, fMRI


감각과 지각

 

 

1. 감각과정

감각과 지각의 정의 - 감각과 지각과정 및 감각 뇌 중추

감각 : 감각기관의 단순 자극

지각 : 뇌가 능동적으로 감각정보를 조직, 식별, 해석하는 과정

 

감각과 지각의 과정

물리적 에너지>>감각>>변환>>지각

 

2. 감각의 측정 (자극탐지)

 

- 정신물리학 : 물리적 에너지와 감각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

>> 자극 강도와 그 자극에 대한 관찰자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방법

 

(1)절대역 - 자극을 탐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 강도 (보통 시행의 50%를 탐지하는 자극 강도)

시각 : 맑고 어두운 밤에 약 48km 떨어진 곳에 있는 촛불

청각 : 아주 조용할때 6m 떨어진 곳에서 나는 시계 소리

촉각 : 1cm 떨어진 곳에서 뺨에 떨어지는 파리의 날개

 

(2)차이역 - 자극에서 겨우 탐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변화, 차이역은 자극 강도에 따라 증가함

베버의 법칙 : 차이역은 일정한 양이 아니라 자극의 일정비율에 따라 변화됨

 

(3) 신호탐지 - 자극 탐지는 자극 자체의 강도뿐만 아니라 경험,동기,기대, 피로 등에 따라 달라짐

 

(4) 감각순응 - 일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현상

 


2. 시각 - 후두엽 (일차 시각피질)

1. 빛의 본질 - 광파 속성과 전자기 에너지 스펙트럼

물리적 차원 심리적 차원
길이 (파장) 색상
진폭 명도
순도 채도/색의 풍부함

2. 눈의 구조와 기능 - 인간 눈의 해부학적 구조

표면에서 반사된 빛은 투명한 각막을 통해 눈으로 들어가서 휘어진 다음 색깔을 띤 홍채의 중앙에 있는 동공을 통과한다.

홍채 뒤에서 수정체의 두께와 모양은 빛을 망막 위에 초점 맞추기 위해 조절된다.

망막의 상은 아래위가 뒤집혀지고 좌우가 역전되어 보인다.

중심와에서 시각은 가장 선명하다.

각막, 홍채, 동공, 수정체, 망막

간상체, 추상체, 시신경, 중심와, 맹점 

 

2. 눈의 구조와 기능

시각경로

>빛>각막>동공>홍채(빛의 양 조절)>수정체(두께의 변화)>망막

 

빛 정보의 이동과 망막 반응

망막>간상체(흑백분별)/추상체 > 화학반응을 통해 양극세포 반응 일으킴

>신경절세포 흥분> 신경절세포의 축색이 시신경을 이룸

>시각정보 전달

 

간상체와 추상체

구분 추상체(색체) 간상체(명암)
수  6백만 1억2천만
망막에서의 위치 중심 말초
약한 빛에 대한 민감도 낮음 높음
색채반응 있음 없음

시신경 > 각 눈에서 시상을 경유 > V1영역 (모양지각)

 

3. 시각 정보의 처리 [두 개의 시각 흐름]

 

배측흐름

- 물체 위치 찾기

- 움직임 추적

- 그것들과의 관계를 통해 움직임 가능하게 함

(어디 경로 / 어떻게 경로)

 

복측흐름

(무엇 경로)

 

시각형태 실인증 > 두 개의 시각 흐름에 대한 증거 (뇌손상 사례)

외측 시각피질 손상 (복측 경로 손상)

두정엽 손상 (배측 경로 손상)

 

A. 특징탐지 - 고양이 시각 피질에 있는 세포 반응의 특성 실험

[단일신경원 특징탐지기]

원숭이 시각피질에 있는 세포들의 반응 특성

 

B. 병렬처리

-시각 장면을 여러 하위 차원(색, 깊이, 운동, 형태 등)으로 나누어 병렬적으로 (동시에)처리

 

C. 색채지각

삼원색설 - 세 가지 색채 수용기

- 색경험 - 빨강, 초록, 파랑의 기본 삼색의 혼합

- 망막에 기본 삼색에 해당하는 세 종류의 수용기가 존재함

- 수용기의 조합 반응에 따라 색 경험을 하게 됨

 

가산혼합 - 빛을 섞는 듯

 

감산혼합 - 물감을 섞는 것

 

>대립과정설

- 삼원색의 모순을 통해 색채경험에 대한 새로운 주장을 제시함

- 빨강/초록, 파랑/노랑의 대립색 기제로 설명

[잔상현상]

 

>색채항상성

- 조명이 다양하게 변화되어도 사물의 색을 일관성 있게 인식

- 색채 경험 : 빛의 파장, 대상 정보 외에 주변 맥락에 의해서도 영향 받음


3. 청각 

주변 환경 상황의 탐지

언어이해

삶의 즐거움 제공

 

소리의 본질

소리파 : 시간에 걸쳐 펼쳐지는 공기 압력의 변화에 관련됨

>소리 파형의 진폭(소리크기의 지각)/ 주파수 빈도(소리 고저의 지각)/복합성 (음색지각)

 

귀의 구조

외이 + 중이 + 내이

외이 : 귓바퀴 + 귓구멍 + 귀청(고막)

중이 : 이소골 

내이 : 반고리관, 청신경, 달팽이관 

 

소리 지각

A1영역 : 일차 청각피질을 포함하는 측두엽의 한 부분

후측 청각피질 (어디) vs 복측 청각피질 (무엇)

 

소리 정보 (음파)의 부호화

장소 부호화 : 서로 다른 주파수가 기저막의 특정 위치에서 부호화됨, 고주파수의 부호화

시간 부호화 : 저주파수를 처리하는 보완적 과정

 

 

청각장애

 

전도성 청각장애 : 귀청/이소골 손상으로 인해 음파가 달팽이관에 전도되기 어려워 발생하는 청각장애

 

신경성 청각장애 : 달팽이관 / 융모세포/ 청신경의 손상에 기인


4. 신체감각 

 

- 근접 감각

- 촉지각 - 손으로 물체 접촉하거나 붙잠음으로써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것

 

촉각 : 신체의 직접적 접촉을 통해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감각

촉각 수용기

 

- 통증 : 신체의 손상 혹은 잠재적 손상

 

- 출입문 통제 이론 : 통증은 통증으로 해결한다는 이론

> 통증의 지각은 양방향 (억제와 증가)으로 이루어진다는 이론

> 통증 수용기 세포에서 감지한 통증은 척수 중간에 위치한 신경원에 의해 중지되거나 혹은 차단될 수 있음

> 통증 수용기 세포는 통증 감각을 증가시키기도 함

 

 


5. 후각과 미각 - 후각피질, 미각피질

 

후각 - 다른 감각들은 뇌의 시상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가지는데 비해, 

후각은 전뇌로 직접 연결된 유일한 감각

 

[후각 구조] - 참고

 

>인간의 정서적, 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감각

ex1) 즐거움, 불쾌함을 냄새를 통해 가지게 됨

ex2) 체취나 페로몬 냄새 탐지를 통해 생존과 번식의 행동을 취하게 됨

 

미각 : 선천적 + 후천적

 

혀, 유두, 맛 봉오리의 구조를 통해 다양한 맛을 경험하게 됨

맛 수용기 : 5종류 


6. 지각적 특징

 

1. 선택적 주의 > 의식적 주의는 선택적

 

수 많은 자극과 정보의 경험들 중 한 순간에 의식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제한적

칵테일 파티 효과

무주의맹시 vs 변화맹시 

 

2. 지각적 착각

 

>뮐러-라이어 착시

>거리지각 오류 : 아침 안개 낀 상태의 동일거리를 정오 햇살 아래에서의 동일거리보다 먼 것으로 판단

 

3. 지각적 조직화 : 감각자극을 의미 있는 지각체로 변환

 

>형태심리학의 원리 -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 

감각정보의 조직화 = 의미 있는 지각적 추론

 

> 시각적 특징을 완전한 형태로 구성하려는 경향은

상향처리와 하향처리를 통해 이루어짐

 

(1) 형태 지각

 

A. 전경과 배경

-지각에서의 첫 단계 : 주변으로부터 전경 (대상)을 조직화

 

B. 지각집단화

단순성, 유사성, 폐쇄성, 근접성, 연속성, 공통운명

 

(2) 깊이지각

A. 양안 단서 - 양안부등 : 두 눈에 맺힌 망막상의 차이를 깊이 지각 단서로 이용

- 시선 수렴 : 두 눈의 시선 수렴의 각도 차이를 단서로 이용

 

B. 단안 단서 : 상대적 크기, 상대적 운동, 상대적 명확성

선형조망, 결의 밀도 변화, 중첩, 상대적 높이

 

(3) 운동지각 : 망막 영상의 변화 +신체의 이동

>가현운동

 

스트로보스코픽 운동 : 영화의 영상처럼 약간 다른 영상을 연속적으로 보여주면 대뇌는 그것을 움직임으로 지각하는 현상

>파이현상 : 근접한 두 개의 불빛이 연속적으로 켜졌다 꺼지면 그 두 개의 불빛이 이동하는 것처럼 지각되는 현상

 

(4) 지각항등성 : 대상 자극의 변화에도 불변하는 대상을 지각하는 것

크기, 형태, 밝기 등

 

>모양항등성과 크기항등성

>크기와 거리의 관계 : 상대적 크기, Ponzo 착시

>밝기 항등성 : 밝기 대비

 

자극의 해석

 

(1) 감각 박탈과 시각 회복 : 감각 및 지각 발달의 결정적 시기가 있음을 밝혀냄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경험이 발달에 중요함을 시사함

 

(2) 지각순응 > 환경에 변화를 주어도 2~3일 내로 적응함

 

(3) 지각 영향 요인 > 경험, 가정, 기대, 지식, 맥락 등이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음

개념, 도식

맥팍효과

 

자극의 해석 [디대에 따른 지각효과 (애매모호한 자극)]

>>어떤 기대를 갖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정리 포인트

1. 감각과 지각의 정의

2. 감각측정과 관련된 정신물리학적 개념들의 원리와 특징

3. 시각과 청각 기관의 구조와 기능, 시각과 청각 정보의 처리과정

4. 촉각, 통증, 후각, 미각의 특징

5. 선택적 주의, 지각적 착각 및 지각적 조직화를 포함한 자극 지각과정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전용 키워드 서치  (0) 2022.03.22
심리학 - 기억  (0) 2022.03.21
구글 애드센스 승인 팁(5)  (0) 2022.03.19
티스토리 키워드 잡기 (4)  (0) 2022.03.18
아들러 치료  (0) 2022.03.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