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2-1-14 청소년 문화정책

by DreamWriter 2023. 5. 30.
728x90

청소년 문화정책

1. 청소년 문화정책의 과제

청소년의 법률적 정의 : 9세 이상의 자와 24세 이하인 자

- 포괄적 개념을 적용

- 일반적으로 합의된 개념의 토대 위에 정책이 수립되고 운용될 때 객관성과 호응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

 

최근의 청소년 정책

=> 청소년 기본법, 청소년활동 진흥법, 청소년복지 지원법, 청소년보호법 등의 개-제정과 

청소년육성기금 설치를 통한 국가적 차원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지원이 주요 내용

 

청소년 문화정책은 청소년 정책의 문화지향적인 전환이 필요

 

2. 청소년문화 창출의 전제조건

01 최소한의 인프라가 전제되어야 함

02 특정 청소년 행동에 대한 가치와 목적 그리고 그 행동의 내용에 어느 정도의 의도성과 계획성이 전제되어야 함

청소년 활동의 가장 중요한 점 : 주도성, 자발성

03 창조적 문화창출은 문화 주체들 간의 자율성과 독립성이 전제되어야 이룰 수 있음

04 청소년 정책은 최근 많이 많이 나아지고 있으나 아직도 노력하고 개선하여야 할 점이 많음

 

3. 청소년 문화교육 활성화 정책 수립

1) 청소년 관련 시설의 문화 활용도 증대

2) 청소년 문화활동 참여기회 확대

3) 청소년 문화적 권리와 문화활동 지원

 

4. 바람직한 청소년 문화정책의 과제

1) 청소년문화 현상의 다원화 및 분화된 시각으로서의 접근필요

2) 청소년문화의 독립적 문화형성 인정 및 생활영역별 구분된 특성 파악 필요

3) 청소년에 대한 시각 변화 필요

4) 청소년들의 구제 및 해방에 대한 관점 필요

5) 청소년문화의 세부적 발전과제 필요

 

청소년문화정책의 전망

1. 바람직한 청소년 문화정책을 위한 전제

청소년 상의 확립 : 기성세대와 사회가 바라는 청소년 상 X

 

바람직한 청소년문화 상

1) 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청소년문화상

2) 공동사회건설을 주도하는 청소년문화상

3)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는 청소년문화상

4) 탐구하고 학문하는 자세의 청소년문화상

5) 성실하게 일하는 청소년문화상

프리터족 : 일을 외면함 

6) 민족의 뿌리를 찾고 나라를 사랑하는 자랑스러운 청소년문화상

7) 자랑스러운 우리 국력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는 청소년문화상

8) 세계화, 국제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청소년문화상

9) 자원봉사활동, 종교생활 등 건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청소년문화상

 

2. 청소년 문화정책 대안

1) 청소년정책의 일관성 유지와 전문성 강화

2) 청소년 전문가 채용제도

3) 청소년 육성 방향을 위해 대국민 홍보 필요

4) 청소년정책의 다양성 지향

5) 청소년지도자의 육성과 배치 및 관리

6) 청소년 단체의 자율적인 활동 활성화

7) 청소년시설 이용관리의 합리화

8) 청소년 수련활동 개발 확대 및 이용 합리화

9) 청소년 유해환경 단속 및 청소년 상담기능 강화

10) 기업체의 청소년 지원에 참여 강화

 

728x90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 청소년 활동의 이해  (1) 2023.08.28
2-2-1 청소년의 이해 (청소년 복지론)  (0) 2023.08.28
2-1-14 학습의 한계  (0) 2023.05.30
2-1-14 건강심리학의 적용과 실제  (0) 2023.05.29
조직과 디자인 씽킹  (0) 2023.05.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