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암이란 무엇인가?
· 통제를 벗어나서 자라고 퍼져나가는 신생세포들의 출현이라는 특징이 있는 일군의 질환
(1) 암 발생의 기전
- 암세포의 발생: 돌연변이설
=> 세포 내 유전자의 변형으로 인한 유전자 질환
- 암의 특징
① 증식: 정상세포와 다르게 비정상적으로 세포가 변하고, 비정상적으로 성숙하여 무한대로 증식함
* 자율성 : 다른 신체 세포들의 요구에 관계없이, 다른 세포들이 지배받고 있는
상위 억제 기제에 의해 제한 없이 무한정 자랄 수 있는 능력이 있음
② 침습: 주변 조직과 장기에 스며들어 정상세포를 파괴하며 제거를 어렵게 함
③ 전이: 혈관벽을 뚫고 혈류를 통해 이동하여 다른 장기로 퍼져나감
(2) 신생물질의 종류
· 양성(benign): 그 성장이 특정 부위에만 제한됨
· 악성(neoplastic) = 암 : 무한 증식을 하며, 주위 세포로 퍼지고 다른 세포들을 파괴하기 때문에 훨씬 더 위험.
혈액이나 림프를 통해 이동하거나 전이되어 몸의 다른 부위로 퍼져나갈 수 있음
(3) 악성 성장의 종류
- 암종 : 상피조직의 암으로, 상피는 몸의 내부와 외부를 감싸는 세포로 피부, 외벽, 점액막 등
- 육종 : 뼈나 근육, 연골조직과 같은 연결조직의 세포에서 생기는 암
- 백혈병 : 골수의 조혈모 세포와 같은 혈액이나 혈액 형성세포에서 발생하는 암
- 림프종 : 림프조직에서 생기는 암
2. 통계로 보는 암
(1) 암 발생률
1) 암 발생의 국제비교 <연령표준화발생률 국제 비교>
출처: 국가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70.4명으로
OECD 평균(301.1 명)보다 낮은 수준
2) 국내 암 발생률
1999년 이후 2012년까지 모든 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연평균 3.5%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5.4%의 감소추세
2015년부터 최근까지는 유의미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음
- 남녀 전체에서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신장암은 1999년 이후로 지속적인 발생률 증가 추세
- 위암, 대장암, 폐암(남자),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암 성별 순위
- 남성: 위, 폐, 대장, 전립선, 간
- 여성: 갑상선, 유방, 대장, 위, 폐
(2) 암 사망률
1) 암으로 인한 사망률 변화 추이
<미국의 암 사망률 변화 추이> - 1990년 이후로 암 사망률이 감소하는 양상
2) 국내 암 생존률 변화 추이
<모든 암의 5년생존율>
최근 5년간(2014-2018년) 발생한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은 70.3%로,
10명 중 7명 이상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
3) 사망률 감소의 원인
① 치료 기법의 향상
② 유방암과 전립선암의 조기발견과 치료의 개선
③ 암 발생률의 감소
- 흡연, 식이, 신체 활동 등 생활양식의 변화에 기인
4) 발생률과 사망률 변화의 양상
- 미국의 경우,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직장암의 사망률 감소
- 미국과 한국의 경우,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음
- 미국의 경우, 간암의 발생률이 남, 녀 모두에게서 증가
3. 암의 위험요인
(1) 암의 생리적 위험요인
1) 인종 배경
① 아프리카계 미국인: 모든 암종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과 사망률을 보임
② 인종에 따른 차이 역시 행동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음
ex) 아시아계 미국인의 전체 암 사망률은 매우 낮으나, 위암(C형 간염바이러스),
간암 (식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임
③ 소수 인종의 지위
- 낮은 암생존율: 아프리카계보다 유럽계 미국여성이 유방암 발생률이 높지만, 아프리카계가 사망률이 더 높음
- 늦은 진단: 유럽계 미국인보다 라틴아메리카계, 아프리카계, 아시아계 등이
암이 진행된 후기 단계에서 진단받는 경향이 높음
- 사회경제적 요인을 보정하면 생존률의 차이가 줄어듦
2) 나이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암 발병률과 사망률이 증가
* 1~14세에서 두 번쨰로 높은 사망원인
–백혈병, 비호지킨 림프종
3) 가족력과 유전
- BRCA 1, BRCA 2 유전자 : 암 보호 단백질의 유전암호를 제공함으로써 암 발생을 막음
- 모든 암의 5~10%만이 타고난 유전적 변이로 설명됨(NCI, 2016) =>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대장암
- 암 발생에 기저하는 단일 유전자를 찾기 어려움
- 유전적 취약성과 행동적 위험요인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
(2) 암의 환경적 위험요인
1) 오염물질 및 화학 물질: 방사능, 석면, 살충제, 제초제, 자동차 배기가스 등
- 석면: 25년 종단연구 결과 석면에 노출된 남자 노동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모든 암의 4.3배, 폐암은 6.6배로 상대적 위험도를 보임
- 방사능 노출: 원자력 발전소 근무자는 백혈병, 직장암, 대장암, 고환암, 폐암의 발생 위험 이 증가
2) 석유화학 제품: 비소, 벤젠, 크롬, 니켈 등
3) 감염 및 만성 염증에 노출: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 위암, 위궤양
- 간염 => 간암
- 만성염증 => 방광암, 전립선암 -> 행동요인에 더 기인
(3) 암의 행동적 위험요인
1) 흡연
“만약 아무도 흡연을 하지 않는다면, 미국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의 1/3이 줄어들 것이다”(미 국 보건복지부, 2010)
- 흡연자의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 24.9배 높음(USDHHS, 2014)
- 폐암발생률과 사망률은 흡연율, 담배 소비량과 정적 상관
- 낙관적 편향, 위험성을 부정하는 경향 -> 담배와 관련된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더 높음 (WHO, 2012)
2) 섭식
① 발암성 음식:
- 천연식품 : 박테리아, 곰팡이
- 위암 아플라톡신
-간암 - 식품첨가물
- 식이 지방: 직장암, 유방암, 고환암
- 가공된 육류: 대장암
② 우리를 암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는 식품 :
고섬유질 식단, 과일, 야채 등이 암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인 영양소가 무엇인지는 확인되지 않음
· 베타카로틴 : 당근, 고구마 등에 들어있는 비타민 A 형태의 카로티노이드
· 셀레늄 : 곡물제품과 곡물을 먹여 키우는 동물의 고기에서 발견되는 성분
3) 알코올 : 구강암, 식도암, 유방암, 간암의 위험을 증가시킴
4) 좌식 생활양식 : 대장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폐암, 췌장암의 위험을 높임
- 신체 활동과 관련이 있음
5) 자외선 노출: 피부암, 특히 흑색종 발병 위험을 높임
- 유전적 소인도 상호작용: 백인, 금발, 푸른 눈을 가진 사람이 피부암 발생가능성 높음
- 실내용 태닝 역시 흑색종 위험을 75% 증가시킴
- 햇빛 노출 시 합성되는 비타민 D는 유방암, 대장암, 전립선암, 난소암, 폐암, 췌장암의 발생 비율을 낮춤
-> 5~10분 이내의 팔과 다리 노출, 1주일에 2~3차례를 권장
- 식이 섭취를 통한 비타민 D공급은 일부 예방 효과가 있음
6) 성 행동
① AIDS 관련 암의 형태 : 카포지 육종, 비호지킨 림프종
- 카포지 육종 : 피부에 생기는 부드럽고 진한 청색이나 보라색 결절로 나타나는 특징 있는 악성 종양
- 비호지킨 림프종 : 순환계나 림프계를 통해 종양이 신속하게 퍼져나감
②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자궁경부암, 구강암
③ 남성의 성행동: 여성 성적 파트너수, 어린 나이의 첫 경험, 임질 등으로 인해 전립선암 위험도 증가
(4) 암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 성격 특성과 암 발생의 위험도는 발견되지 않음
- 부정정서, 정서억압 : 암의 발달보다 암 진단에 대한 반응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음
4. 암환자의 심리
(1) 의학적 암 치료의 문제점
- 수술 후 심리적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종양 : 유방, 자궁, 전립선, 후두, 절단술
(2) 암 진단에 대한 적응
암 진단에 대한 3단계 반응 | ||
단계 | 증상 | 시간 |
1단계 초기반응 |
불신, 부정, 절망 | 보통 1주 이내 |
2단계 정신적 고통 |
불안, 우울, 식욕부진, 불면, 집중력 저하 | 보통 1~2주일 |
3단계 적응 |
현실을 납득 선택 가능한 치료법을 모색 희망을 유지 일상생활로 복귀 |
보통 2주 이후 몇 달이 걸리기도 함 성공적이지 못할 수도 있음 |
· 감투정신(fighting spirit) (투쟁정신) : 암이 통제 가능하다고 믿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전략
- 초기에 암 적응에는 도움이 되지만, 장기간 생존에는 크게 이점이 없다(Coyne & Tennen, 2010)
-> ‘암 생존율을 높이거나 재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특정 대처방식을 강요해서는 안된다’라고 충고
(3) 암 환자에 대한 사회적 지원
: 성인 암환자 80만명을 대상으로 한 종단 연구에서 결혼은 암 사망률을 낮추는
유일한 요인으로 확인됨(Gomez et al., 2016)
- 결혼= 의료서비스 선택권, 치료 접근성을 높임 + 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을 높임
-> 지지모임 장려
5. 암 환자에 대한 심리적 개입
- 심리적 개입의 목적: 정서적 안녕감 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
- 심리적 개입의 유형: 심리교육, 개인/집단 심리치료
- 심리적 개입의 접근법: 인지행동적 접근, 정서지지 및 표현적 접근, 마음챙김 명상 등
- 심리적 개입의 대상
* 심리적 문제: 불안, 우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
* 신체적 증상: 구토, 통증, 피로 등 치료 부작용
* 삶의 재적응 문제: 자신감 저하, 대인관계 갈등, 자기상 변화 등
* 기타: 불임, 난임, 성기능 문제 등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 인간의 공격성 (0) | 2023.04.24 |
---|---|
아이디어 도출하기2- 비주얼 씽킹 (0) | 2023.04.24 |
2-1-7 아이디어 도출하기1 (0) | 2023.04.12 |
2-1-7 상담자의 가치와 윤리 (0) | 2023.04.12 |
2-1-7 집단상담 이론3 (0) | 2023.04.12 |
댓글